석유/화학 관련 기업 투자 시 고려해야 할 부분들에 대한 정리입니다. 관련 내용은
삼프로tv 내용을 요약 정리했습니다.
1) 소재 산업은 완제품의 원료 및 재료를 생산하는 산업
2) 소재 산업 특징은 B2B 기업 간 거래가 대부분
3) 시황 및 업황이 석유/화학 산업에 영향을 줌
4) 시황 및 업황에 영향을 주는 것은 수급( = 수요 + 공급 )
5) 소재 산업은 제품의 스프레드가 중요 (소재 판매 가격 - 원재료 가격)
NCC 나프타분해시설 (석유기반) 국내 기업
ECC 에탄분해시설 (천연가스/셰일가스) 미국 등
정유 기업은 원유를 사서 정제해서 다음과 같은 제품을 생산
가벼운 순
1) LPG
2) 납사(나프타-화학)/휘발유(자동차)
3) 등유(난방)/경유(자동차)
4) 벙커C유 (조선)
5) 아스팔트 (건설사)
휘발유/경유/납사 가격이 정유 기업들이 반등하는 시기
화학 기업은 정유사로부터 납사를 사서 NCC 나프타분해시설에서 끓임
다음과 같은 재료를 생산
1) 에틸렌
2) 프로필렌
3) 부타디엔
4) 벤젠/톨루엔/자일렌
위의 재료를 사용해서 다음 제품 생산
1) 합성수지 (플라스틱)
PE(폴리에틸렌) / PP(폴리프로필렌) / PVC / PS / ABS
2) 합섬원료 (섬유)
3) 합성고무
스프레드를 통해서 실적 판단을 할 때,
예) 현재 PE 가격의 상승 분과 납사 가격의 차를 이용해서 스프레드를 판단할 수 있음. 납사 가격에 비해서 PE/PP 가격이 더 가파르게 상승할 때 이익이 커지는 구조
매주 재료 별 가격이 공개가 되고 있으며, 원재료인 납사의 가격도 매주 제공되고 있으므로 증권사 리포트를 참고해서 투자 시기를 판단하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.
화학 섹터로 검색
'Investing > 국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제유가 및 정제 마진 조회 사이트 (0) | 2023.03.09 |
---|---|
나프타 (납사) 선물 가격 및 화학 소재 가격 (0) | 2021.01.31 |
바이오 플라스틱 (플라스틱 전쟁) (0) | 2021.01.25 |
부동산 관련 시세 및 해당 지역 통계 정보 확인 (0) | 2021.01.24 |
2021년 2월 IPO 일정 (0) | 2021.01.19 |